5주차: 고급 CSS

미디어 쿼리, CSS 애니메이션, 전환 효과를 학습하여 고급 스타일링을 구현합니다

학습 목표

📱

미디어 쿼리

@media를 활용한 반응형 웹 디자인을 구현합니다

CSS 애니메이션

@keyframes를 사용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만듭니다

🎭

전환 효과

transition과 transform으로 부드러운 효과를 구현합니다

🎨

고급 선택자

pseudo-class와 pseudo-element를 활용합니다

강의 내용

1. 미디어 쿼리 (@media)

다양한 디바이스와 화면 크기에 맞춰 스타일을 조정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.

기본 미디어 쿼리

/* 모바일 우선 (Mobile First) */
.container {
    width: 100%;
    padding: 10px;
}

/* 태블릿 이상 */
@media (min-width: 768px) {
    .container {
        max-width: 750px;
        margin: 0 auto;
        padding: 20px;
    }
}

/* 데스크톱 이상 */
@media (min-width: 1024px) {
    .container {
        max-width: 1200px;
    }
}

/* 인쇄용 */
@media print {
    .no-print {
        display: none;
    }
    
    body {
        font-size: 12pt;
        color: black;
    }
}

반응형 네비게이션

/* 데스크톱 네비게이션 */
.nav-menu {
    display: flex;
    list-style: none;
    gap: 2rem;
}

.nav-toggle {
    display: none;
}

/* 모바일 네비게이션 */
@media (max-width: 768px) {
    .nav-menu {
        position: fixed;
        top: 70px;
        left: -100%;
        flex-direction: column;
        background: white;
        width: 100%;
        transition: left 0.3s ease;
        box-shadow: 0 2px 10px rgba(0,0,0,0.1);
    }
    
    .nav-menu.active {
        left: 0;
    }
    
    .nav-toggle {
        display: block;
    }
}

2. CSS 애니메이션

@keyframes를 사용하여 복잡한 애니메이션을 만들어봅시다.

기본 애니메이션

/* 키프레임 정의 */
@keyframes slideIn {
    from {
        transform: translateX(-100%);
        opacity: 0;
    }
    to {
        transform: translateX(0);
        opacity: 1;
    }
}

/* 애니메이션 적용 */
.slide-in {
    animation: slideIn 0.5s ease-out;
}

/* 복잡한 애니메이션 */
@keyframes bounce {
    0% { transform: translateY(0); }
    25% { transform: translateY(-20px); }
    50% { transform: translateY(0); }
    75% { transform: translateY(-10px); }
    100% { transform: translateY(0); }
}

.bounce-animation {
    animation: bounce 1s infinite;
}

실용적인 로딩 애니메이션

/* 스피너 로딩 */
@keyframes spin {
    0% { transform: rotate(0deg); }
    100% { transform: rotate(360deg); }
}

.spinner {
    border: 4px solid #f3f3f3;
    border-top: 4px solid #3498db;
    border-radius: 50%;
    width: 40px;
    height: 40px;
    animation: spin 1s linear infinite;
}

/* 펄스 효과 */
@keyframes pulse {
    0% { transform: scale(1); opacity: 1; }
    50% { transform: scale(1.1); opacity: 0.7; }
    100% { transform: scale(1); opacity: 1; }
}

.pulse {
    animation: pulse 2s infinite;
}

3. 전환 효과 (Transitions)

사용자 상호작용에 반응하는 부드러운 전환 효과를 만들어봅시다.

기본 전환 효과

.button {
    background-color: #3498db;
    color: white;
    padding: 10px 20px;
    border: none;
    border-radius: 5px;
    cursor: pointer;
    
    /* 전환 효과 설정 */
    transition: all 0.3s ease;
}

.button:hover {
    background-color: #2980b9;
    transform: translateY(-2px);
    box-shadow: 0 4px 8px rgba(0,0,0,0.2);
}

/* 카드 호버 효과 */
.card {
    transition: transform 0.3s ease, box-shadow 0.3s ease;
}

.card:hover {
    transform: scale(1.05);
    box-shadow: 0 10px 20px rgba(0,0,0,0.1);
}

Transform 속성

/* 이동 */
.translate { transform: translate(50px, 100px); }
.translateX { transform: translateX(50px); }
.translateY { transform: translateY(100px); }

/* 회전 */
.rotate { transform: rotate(45deg); }

/* 크기 조절 */
.scale { transform: scale(1.5); }
.scaleX { transform: scaleX(2); }
.scaleY { transform: scaleY(0.5); }

/* 기울이기 */
.skew { transform: skew(20deg, 10deg); }

/* 조합 */
.combined {
    transform: translate(50px, 100px) rotate(45deg) scale(1.2);
}

4. 고급 선택자

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스타일링을 위한 고급 선택자들을 알아봅시다.

의사 클래스 (Pseudo-classes)

/* 상태 기반 선택자 */
a:hover { color: #3498db; }
a:active { color: #2980b9; }
a:visited { color: #9b59b6; }

input:focus {
    outline: none;
    border-color: #3498db;
    box-shadow: 0 0 0 2px rgba(52, 152, 219, 0.2);
}

/* 구조 기반 선택자 */
li:first-child { font-weight: bold; }
li:last-child { margin-bottom: 0; }
li:nth-child(odd) { background-color: #f8f9fa; }
li:nth-child(even) { background-color: white; }

/* nth-child 고급 사용법 */
li:nth-child(3n+1) { color: red; }    /* 1, 4, 7, 10... */
li:nth-child(-n+3) { font-size: 18px; } /* 처음 3개 */

의사 요소 (Pseudo-elements)

/* 장식 요소 추가 */
.quote::before {
    content: """;
    font-size: 2em;
    color: #3498db;
}

.quote::after {
    content: """;
    font-size: 2em;
    color: #3498db;
}

/* 툴팁 만들기 */
.tooltip {
    position: relative;
    cursor: help;
}

.tooltip::after {
    content: attr(data-tooltip);
    position: absolute;
    bottom: 125%;
    left: 50%;
    transform: translateX(-50%);
    background: #333;
    color: white;
    padding: 8px 12px;
    border-radius: 4px;
    white-space: nowrap;
    opacity: 0;
    visibility: hidden;
    transition: opacity 0.3s;
}

.tooltip:hover::after {
    opacity: 1;
    visibility: visible;
}

실습 활동

실습 1: 완전 반응형 웹페이지 만들기

목표: 미디어 쿼리를 활용하여 모든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웹페이지를 만듭니다.

요구사항:

  • 모바일, 태블릿, 데스크톱 3가지 레이아웃
  • 반응형 네비게이션 (햄버거 메뉴)
  • 반응형 이미지 및 텍스트
  • 적절한 브레이크포인트 설정
GitHub Copilot

실습 2: 애니메이션 효과 라이브러리 만들기

목표: Copilot과 함께 재사용 가능한 CSS 애니메이션 클래스들을 만듭니다.

구현할 애니메이션:

  • 페이드 인/아웃
  • 슬라이드 효과
  • 회전 및 확대/축소
  • 바운스 효과

실습 3: 인터랙티브 카드 컴포넌트

목표: 호버 효과와 전환 애니메이션이 적용된 카드를 만듭니다.

포함할 효과:

  • 마우스 호버 시 카드 확대
  • 그림자 효과 변화
  • 버튼 호버 애니메이션
  • 이미지 오버레이 효과

주차 요약

핵심 포인트

  • 미디어 쿼리로 반응형 디자인 구현
  • @keyframes를 활용한 CSS 애니메이션
  • transition과 transform으로 부드러운 효과
  • 고급 선택자로 정밀한 스타일링
  • 실용적인 UI 컴포넌트 제작

다음 주 미리보기

6주차에서는 JavaScript의 기초를 학습합니다. 변수, 데이터 타입, 조건문, 반복문 등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들을 다룰 예정입니다.